@Kyu-Hwan-Choi 님이 Firebase 관련 질문 드립니다 에서 보낸 메세지:
import { auth } from "firebase/auth"
안녕하세요 !
노드에서 firebase 연동에 관하여 문의주셨는데요.
제가 회원님의 코드를 확인한 것이 아니라서 확답을 드릴 수는 없지만
const auth = require('firebase/auth')
로 진행하시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.
Node는 CommonJS의 문법을 하기 때문에 모듈을 불러올 때, require을 사용합니다.
import 문은 ES6 에서만 사용되는 문법이라서 생기는 문제로 보입니다.
안녕하세요,
파이썬 컨테이너 생성 후 아래와 같은 커맨드로 설치가 잘 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.
pip install pystan fbprophet plotly
설치 후에 아래와 같은 커맨드를 실행하여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.
python -c "import pystan;import fbprophet;"
다만 prophet 공식 문서의 설치 가이드(https://facebook.github.io/prophet/docs/installation.html)에서 확인할 수 있듯 설치시에 많은 메모리 자원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는데, 현재 무료 플랜을 사용 중이시라면 설치가 정상적으로 진행이 되지 않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점 참고 바랍니다.
안녕하세요, 김희재님.
어떤 언어를 사용하고 계시는지 몰라 node.js express 기준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.
쿠키는 HTTP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 함께 보내지는 데이터입니다.
(쿠키에 대해 더 알고싶으시면 이 링크를 참고해주세요.)
따라서 라우터 내에서 req.cookies[property name] 를 통해 쿠키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 쿠키의 name 속성을 읽고 싶다면 req.cookies.name 을 통해 가능합니다.
쿠키의 값은 매 요청과 응답 사이클마다 달라질 수 있습니다.
응답을 통해 쿠키의 값을 변경할 수 있는데,res.cookie()함수를 이용하는 것입니다.
res.cookie('property name', 'value'); 형식으로 쿠키 값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플로우는 아래와 같습니다.
요청이 들어오면 쿠키 확인 req.cookies.name -> 비어 있으면 쿠키 생성 res.cookie('name', 'guest1');
-> 있으면 다른 응답 -> res.json('hello');
더 궁금한게 있으면 댓글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: )
안녕하세요.
문의주신 상황과 같이 테스트 해봤을 때 해당 라인만 주석 처리가 되고 다음 라인은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는 것으로 확인됩니다.
빌드 또한 g++ 컴파일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문의주신 것과 같은 상황이 재현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됩니다.
자세한 에러 내용 또는 문제가 되는 부분의 코드를 공유 부탁드립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