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ontainer1에서 다음과 같은 단계를 진행합니다.
/etc/mysql/mysql.conf.d/mysqld.cnf 파일을 열고 (vim 에디터 등 사용) bind-address = 127.0.0.1 부분 앞에 #을 붙여서 #bind-address = 127.0.0.1이 되도록 수정하여 주석처리 해줍니다. (원격접속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, LISTEN IP 대역을 로컬호스트로 제한하고 있는 설정을 주석처리)
터미널에 service mysql restart 명령을 실행하여 mysql 재시작
mysql shell에 접속하여 GRANT ALL ON *.* TO root@'%' IDENTIFIED BY 'password'; 쿼리를 실행해줍니다. ('password' 부분은 원격접속 시 사용할 패스워드로 적절하게 변경)
FLUSH PRIVILEGES; 쿼리를 실행해줍니다.
구름IDE 상단메뉴 [컨테이너] - [포트포워딩 설정]에서 유형 MySQL 선택 후 [등록]을 눌러 포트를 열어줍니다.
등록 후에 [IP]와 [외부 포트]를 확인해둡니다. (container2에서 container1의 mysql로 접속 시 사용할 정보)
conatainer2에서 다음과 같은 단계를 진행합니다.
터미널에 mysql -h[IP] -P[외부 포트] -p[password] 명령을 실행하여 정상적으로 접속이 되는지 확인합니다. 예를 들면 mysql -h3.34.1.253 -P59891 -ppassword와 같은 형식의 명령입니다.
플랜은 CPU, Memory, ...의 차이라서 얼마나 개선될지 정확히 말씀해드릴 수 없습니다.
플랜을 높여 expo 빌드 소요 시간이 단축된다고 하여도 expo는 빌드 결과물을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배포하기 때문에 많은 차이가 없을 수 있습니다.
어플리케이션이 무거워서 빌드 시간을 높이려면 플랜을 높이는 걸 추천해드리지만
배포 시간을 단축시키려고하시면 미미한 차이뿐이 없을 수 있으니 참고부탁드립니다.
안녕하세요 Mmol님.
Rbenv 를 통해 ruby 버전을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이 있는데, 아래 순서대로 시도해 보시길 바랍니다.
버전 설치가 완료되는데 시간이 다소 소요될 수 있으니 이 점 참고해 주세요!
# 저장소 업데이트
sudo apt update
sudo apt install git curl autoconf bison build-essential libssl-dev libyaml-dev libreadline6-dev zlib1g-dev libncurses5-dev libffi-dev libgdbm6 libgdbm-dev libdb-dev
# Rbenv 다운로드
curl -fsSL https://github.com/rbenv/rbenv-installer/raw/HEAD/bin/rbenv-installer | bash
echo 'export PATH="$HOME/.rbenv/bin:$PATH"' >> ~/.bashrc
echo 'eval "$(rbenv init -)"' >> ~/.bashrc
source ~/.bashrc
# 설치 가능한 ruby 버전 확인
rbenv install -l
# ruby 설치
rbenv install 3.1.1
# 설치한 ruby 버전 설정
rbenv global 3.1.1
# ruby 버전 확인
ruby -v
참고: https://phoenixnap.com/kb/install-ruby-ubuntu